아래는 성경의 마지막 책, 요한계시록에 대한 내용을 작성한 글입니다.


마지막 날의 계시, 그 안에 담긴 소망 – 요한계시록 깊이 읽기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이는 하나님이 그에게 주사 반드시 속히 일어날 일들을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그 천사를 그 종 요한에게 보내어 알게 하신 것이라” (요한계시록 1:1)

세상의 끝, 하나님의 심판, 천상의 예배, 어린양의 승리, 새 하늘과 새 땅.
이 모든 이미지를 한 몸에 담고 있는 책이 바로 요한계시록입니다. 수많은 신자들에게 경외심과 경탄, 때로는 두려움과 신비로움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성경의 마지막 책이죠. 요한계시록은 종말론적 메시지와 더불어, 고난받는 교회에게 주는 강력한 위로의 말씀이자 승리의 확신입니다. 오늘은 이 깊고 넓은 계시록의 세계를 성도 여러분과 함께 묵상하며,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하나님의 메시지를 되새겨보려 합니다.


요한계시록, 누구를 위해 기록되었나?

요한계시록은 사도 요한이 밧모섬에서 성령 안에서 본 환상을 기록한 책입니다. 로마 제국의 박해 속에 고통받던 소아시아 일곱 교회(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델비아, 라오디게아)에게 보내는 하나님의 메시지로, 단순한 예언서나 종말 시나리오가 아닌, 박해 가운데 인내하고 믿음을 지키라는 강력한 촉구의 말씀입니다.

당시 기독교인들은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폭압적인 통치 아래 “예수를 주라” 고백한 죄로 숱한 고난을 당하고 있었습니다. 이들에게 하나님은 그리스도의 승리와 하나님의 궁극적인 통치를 보여주심으로써 믿음을 굳게 하라 명하신 것입니다.


구조로 보는 요한계시록

요한계시록은 크게 다음과 같은 구조로 나뉩니다.

  1. 서문과 인사 (1:1-8)
  2. 일곱 교회에 보내는 편지 (1:9–3:22)
  3. 하늘의 보좌와 어린양의 권세 (4:1–5:14)
  4. 일곱 인, 나팔, 대접 심판 (6:1–16:21)
  5. 큰 음녀 바벨론의 멸망과 그리스도의 재림 (17:1–20:15)
  6. 새 하늘과 새 땅의 도래 (21:1–22:5)
  7. 맺는 말씀 (22:6–21)

계시록은 문학적으로도 매우 풍성하며 상징과 반복, 대조와 환상이 교차하며 펼쳐지는 독특한 장르입니다. 독자들은 문자적 해석에만 얽매이기보다는 본문이 전하고자 하는 신학적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일곱 교회를 향한 주님의 음성

계시록의 초반(2–3장)은 일곱 교회를 향한 주님의 말씀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 말씀은 단지 과거 소아시아 교회에만 국한되지 않고, 모든 시대의 교회와 성도들을 향한 권면입니다.

  • 에베소: 처음 사랑을 버린 교회
  • 서머나: 환난 중에도 충성된 교회
  • 버가모: 이단의 가르침에 흔들린 교회
  • 두아디라: 이세벨을 용납한 교회
  • 사데: 살았으나 죽은 교회
  • 빌라델비아: 적은 힘에도 주의 말씀을 지킨 교회
  • 라오디게아: 미지근한 믿음, 자기 만족의 교회

오늘날 우리 교회는 이 중 어떤 모습에 가장 가까울까요? 요한계시록은 단호하게 외칩니다. “귀 있는 자는 성령이 교회들에게 하시는 말씀을 들을지어다” (계 2:7 등)


어린양과 그 보좌 – 찬양과 영광의 중심

요한은 하늘 문이 열리는 환상 속에서 하나님 보좌 앞의 장엄한 예배 장면을 보게 됩니다(4장). 그리고 그 보좌 앞에서 한 어린양이 등장합니다. 일찍이 죽임을 당하신 어린양 –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킵니다. 오직 이 어린양만이 하나님의 책, 곧 역사의 주권을 담은 두루마리를 펼 자격이 있습니다(5장).

모든 피조물은 어린양을 향해 외칩니다.

“죽임을 당하신 어린 양은 능력과 부와 지혜와 힘과 존귀와 영광과 찬송을 받으시기에 합당하도다” (계 5:12)

요한계시록은 우리에게 예배의 본질을 상기시킵니다. 예배는 하늘에서 이미 드려지고 있는 것에 우리가 동참하는 행위입니다. 우리는 날마다 하늘 보좌 앞에서 드려지는 이 거룩한 찬양에 우리의 마음을 모아야 합니다.


심판과 구원, 혼돈 속에 빛나는 하나님의 뜻

요한계시록은 일곱 인과 나팔, 대접의 순차적인 심판을 통해 인간의 죄악, 세상의 부패, 악의 세력의 종말을 선포합니다. 동시에 고난 중에도 믿음을 지키는 자들에게 구원의 확신을 줍니다.

많은 이들이 계시록의 심판 장면을 두려워합니다. 그러나 이 심판은 단순한 파괴가 아닌, 정의의 회복과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기 위한 정화의 과정입니다. 악한 바벨론, 거짓 선지자, 짐승과 같은 존재들은 결국 불못에 던져지고, 하나님의 뜻은 온전히 성취됩니다.


새 하늘과 새 땅 – 진정한 소망의 약속

요한계시록의 마지막은 결코 절망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계시록 21~22장은 성경 전체가 지향하는 하나님의 영원한 나라, 곧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강력한 소망을 제시합니다.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 (계 21:5)
“그들과 함께 거하시리니… 다시는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계 21:3–4)

하나님은 그 백성과 함께 거하십니다. 그분은 우리와 함께 계시는 임마누엘 하나님이시며, 우리의 눈물을 닦아주실 아버지입니다. 요한계시록의 결말은 하나님의 사랑과 회복, 그리고 완전한 구원의 완성입니다.


오늘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요한계시록은 종말을 예언하는 책이지만, 단지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기록만은 아닙니다. 오늘, 여기, 지금 우리에게 주시는 말씀입니다.

  • 핍박과 혼란 속에서도 믿음을 지키라는 부르심
  • 어린양을 따르는 자는 결코 흔들리지 않음을 확신시키는 약속
  • 세상 권세가 아무리 강해도 하나님 나라의 승리가 확정되었음을 선포하는 외침
  • 회개하고 첫 사랑을 회복하라는 주님의 간절한 음성

결론 –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

요한계시록의 마지막 말씀은 이렇습니다.

“아멘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 (계 22:20)

이 고백은 단순한 기다림이 아닙니다. 확신 있는 소망입니다. 예수님의 다시 오심은 무질서한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최종 선언이요, 고통받는 이들을 위한 회복의 시작입니다.

오늘날 우리도 그날을 소망하며 살아갑니다. 세상이 어둡고 혼란스러울지라도, 어린양이 이미 승리하셨고, 우리는 그 승리의 행렬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요한계시록은 두려움의 책이 아닙니다. 소망의 책입니다. 성도 여러분, 끝은 시작이며, 고난은 영광으로 이어집니다.

우리의 입술과 삶으로 고백합시다.
“아멘,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