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2:41~23:12은 발락과 발람의 이야기 일부로, 발람이 하나님의 지시를 받아 모압 왕 발락에게 가는 여정과 발락의 반응, 그리고 하나님께서 발람을 통해 하신 말씀을 담고 있습니다. 개역개정 성경 기준


민수기 22:41~23:12 (개역개정)

22:41 아침에 발락이 발람과 함께 가서 그를 인도하여 바알의 산당에 오르매, 거기서 발람이 이스라엘 백성의 끝부분만 바라보니라.

23:1 발람이 발락에게 이르되, 나를 위하여 여기 일곱 제단을 쌓고, 거기 일곱 마리의 수송아지와 일곱 마리의 숫양을 준비하소서.

23:2 발락이 발람의 말대로 행하니, 발락과 발람이 각 제단에 수송아지와 숫양을 드리니라.

23:3 발람이 발락에게 이르되, 당신의 번제 곁에 서 있으소서. 나는 혹시 여호와께서 나를 만나시리니, 여호와께서 내게 지시하시는 것은 다 당신에게 알리리이다 하고, 언덕길로 올라가니

23:4 하나님이 발람에게 임하시는지라. 발람이 하나님께 아래되, 내가 일곱 제단을 쌓고, 각 제단에 수송아지와 숫양을 드렸나이다.

23:5 여호와께서 발람의 입에 말씀을 주시며 이르시되, 발락에게 돌아가서 이렇게 말할지니라.

23:6 그가 돌아가 보니, 발락과 모압의 모든 고관이 번제 곁에 서 있더라.

23:7 발람이 예언을 전하여 이르되, 발락이 나를 아람에서, 모압 왕이 동방 산에서 불러 말하기를, 오라, 나를 위하여 야곱을 저주하라, 오라, 나를 위하여 이스라엘을 꾸짖으라 하였도다.

23:8 하나님이 저주하지 않으신 자를 내가 어찌 저주하며, 여호와께서 꾸짖지 않으신 자를 내가 어찌 꾸짖으랴?

23:9 내가 바위 위에서 그들을 보며, 작은 산에서 그들을 바라보니, 이 백성은 홀로 살고, 그를 여러 민족 중에 하나로 여기지 않도다.

23:10 야곱의 티끌을 누가 능히 세며, 이스라엘의 사분의 일을 누가 능히 셀꼬. 나는 의인의 죽음을 죽기 원하며, 나의 종말이 그와 같기를 바라노라.

23:11 발락이 발람에게 이르되, 그대를 불러 내 원수를 저주하게 하였거늘, 그대가 오히려 그들을 축복하였도다.

23:12 발람이 대답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내 입에 주신 말씀을 내가 어찌 말하지 아니할 수 있으리이까.


이 본문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축복하시며, 그 뜻을 사람이 바꾸지 못함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아래는 민수기 22장 41절부터 23장 12절 본문을 바탕으로 한 자세한 해설, 묵상, 그리고 기도문입니다. 이 본문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 가운데 첫 번째 축복 선언으로, 하나님의 뜻을 거슬러 인간의 욕망대로 저주하려는 시도가 무력화되는 장면입니다.


본문 요약 (민수기 22:41~23:12)

  • 22:41 발락은 발람을 데리고 바알의 산당에 올라가 이스라엘 진영의 일부분을 바라보게 한다.
  • 23:1-2 발람은 일곱 제단을 쌓고 수송아지와 숫양을 제물로 드리라고 요청하고, 발락은 그대로 따른다.
  • 23:3-5 발람이 하나님의 뜻을 받기 위해 떠나자, 하나님이 나타나 발람의 입에 말씀을 주신다.
  • 23:6-10 발람은 하나님께 받은 말씀을 발락 앞에서 전하며, 이스라엘을 저주하는 대신 축복한다.
  • 23:11-12 발락은 실망하지만, 발람은 하나님께서 주신 말씀 외에는 전할 수 없다고 말한다.

자세한 해설

1. 산당에서의 시도 (22:41)

  • 발락은 이스라엘을 저주하게 하기 위해 바알 산당으로 발람을 데려간다. 이는 이방 신의 장소에서 자기 뜻대로 신의 능력을 끌어내려는 시도다.
  • 의도는 분명했다: 이스라엘을 저주함으로써 그들을 전쟁에서 약화시키고 승리를 얻고자 함.

2. 제사와 예식 (23:1-2)

  • 발람은 일곱 제단을 요구하며 정해진 수의 제물을 드리게 한다. 이는 고대 근동 문화에서 통상적인 신탁을 받는 의식이었음.
  • 하지만 이러한 종교적 형식이 하나님을 조종할 수 없음은 곧 드러난다.

3. 하나님의 개입 (23:3-5)

  • 발람은 진심으로 하나님의 뜻을 구하려고 산으로 올라가며, 하나님은 이에 응답하신다.
  • **”여호와께서 발람의 입에 말씀을 주시며”**는 하나님의 주권과 계시의 일방성을 보여준다. 발람은 자의대로 말할 수 없고, 오직 하나님이 주신 말만을 말해야 한다.

4. 첫 번째 축복 선언 (23:7-10)

  • 발람은 하나님께 받은 예언을 말하는데, 이는 이스라엘을 저주하라는 요청과 정반대의 결과다.
  • “하나님이 저주하지 않으신 자를 내가 어찌 저주하며…” → 하나님의 절대 주권 선언.
  • “이 백성은 홀로 살고…” → 하나님의 선택받은 백성으로서의 정체성.
  • “나는 의인의 죽음을 죽기 원하며…” → 발람 스스로도 이스라엘의 복됨을 인정한다.

5. 발락의 분노와 발람의 대답 (23:11-12)

  • 발락은 당황하고 실망하지만, 발람은 한마디로 종결짓는다:
    “여호와께서 내 입에 주신 말씀을 내가 어찌 말하지 아니할 수 있으리이까.”
  • 이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인간의 복종과 경외를 보여준다.

묵상 포인트

  1. 하나님의 뜻은 사람이 바꿀 수 없다.
    • 발락은 제사와 환경을 이용해 하나님의 뜻을 꺾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 아무리 강한 세속 권력도 하나님의 계획을 뒤엎을 수 없다.
  2. 신앙은 형식이 아닌 진실한 관계에 있다.
    • 발람은 의식을 따랐지만, 하나님께 묻고 순종했기에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었다.
    • 종교 행위보다 하나님의 뜻에 민감한 귀와 마음이 중요하다.
  3. 축복받은 자는 누구도 저주할 수 없다.
    • 하나님의 백성은 세상의 공격 속에서도 보호받는다.
    • 우리는 누구보다도 강한 보호막 안에 있다.
  4.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자는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발람은 왕의 기대를 저버릴지라도,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전했다.
    • 하나님의 말씀을 맡은 자는 진실과 용기를 가져야 한다.

기도문

하나님 아버지,
오늘도 주의 말씀 앞에 마음을 엽니다.

하나님께서 축복하신 자를 세상이 결코 저주할 수 없음을 깨닫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세상이 어떠한 음모를 꾸미고, 사람의 힘으로 저를 넘어뜨리려 해도,
주의 뜻이 서고, 주의 말씀이 승리함을 믿습니다.

발람이 하나님의 말씀 외에는 아무것도 전하지 못했던 것처럼,
저 또한 주의 음성에 민감하며, 세상의 유혹과 압력보다 주의 뜻을 따르게 하소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받은 정체성과 축복을 잊지 않게 하시고,
세상 한복판에서도 주와 동행하며 주의 뜻대로 살아가게 하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