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5장 1절부터 18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모압 여인들과 음행하고, 바알브올을 섬김으로써 하나님께 죄를 범한 사건과 그에 따른 하나님의 진노, 그리고 그 진노를 가라앉힌 비느하스의 열심에 관한 내용입니다. 개역개정판 기준
민수기 25:1-18 (개역개정)
- 이스라엘이 싯딤에 머물러 있더니 그 백성이 모압 여자들과 음행하기를 시작하니라
- 그 여자들이 자기 신들에게 제사할 때에 이스라엘 백성을 청하매 백성이 먹고 그들의 신들에게 절하므로
- 이스라엘이 바알브올에게 가담한지라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진노하시니라
-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백성의 수령들을 잡아 태양을 향하여 여호와 앞에 목 매어 달라 그리하면 여호와의 진노가 이스라엘에서 떠나리라
- 모세가 이스라엘 재판관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각각 바알브올에게 가담한 사람들을 죽이라 하니라
-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이 회막 문에서 울 때에 한 이스라엘 사람이 모세와 온 회중의 눈앞에 한 미디안 여인을 데리고 그의 형제에게로 온지라
- 제사장 아론의 손자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가 그것을 보고 회중 가운데서 일어나 손에 창을 들고
- 그 이스라엘 남자를 따라 그의 막에 들어가서 이스라엘 남자와 그 여인의 배를 꿰뚫었으므로 이스라엘 자손에게 내리신 재앙이 그쳤더라
- 그 재앙으로 죽은 자가 이만 사천 명이었더라
-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 제사장 아론의 손자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가 내 질투심으로 질투하여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내 노를 돌이켜서 내 질투심으로 그들을 진멸하지 않게 하였도다
- 그러므로 말하라 내가 그에게 내 평화의 언약을 주리니
- 그와 그의 후손에게 영원한 제사장 직분의 언약이라 그가 그의 하나님을 위하여 질투하여 이스라엘 자손을 속죄하였음이니라
- 죽임을 당한 이스라엘 남자 곧 미디안 여인과 함께 죽임을 당한 자의 이름은 시므온의 조상의 가문 중 한 지도자인 살루의 아들 시므리이며
- 죽임을 당한 미디안 여인의 이름은 수르의 딸 고스비라 그는 미디안 백성의 한 조상의 가문 중 수장의 딸이었더라
-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 미디안인들을 대적하여 그들을 치라
- 이는 그들이 속임수로 너희를 대적하되 브올의 일과 그들의 자매 미디안 여인 고스비의 일로 너희를 꾀었음이라 고스비는 브올의 일로 재앙 날에 죽임을 당한 자의 딸이었느니라
이 본문은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우상숭배와 음행에 빠졌을 때, 하나님의 공의와 질투, 그리고 그것을 회복하기 위한 비느하스의 열심과 하나님의 칭찬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아래는 민수기 25장 1절~18절 본문을 바탕으로 한 해설, 묵상, 그리고 기도문입니다. 이 본문은 하나님의 거룩함, 질투(거룩한 분노), 그리고 중보자적인 사명을 조명하는 매우 중요한 본문입니다.
민수기 25장 1–18절 본문 중심 해설
1. 이스라엘의 타락 (1~3절)
이스라엘 백성이 싯딤에 머무르며 모압 여자들과 음행하고, 그들과 함께 **우상 숭배(바알브올)**에 빠지는 장면입니다. 이는 단순한 도덕적 타락이 아니라 신앙의 타락입니다. 모압 여인들이 자신들의 신에게 제사하며 이스라엘을 초대함으로써, 이방 신의 숭배로 이끈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것을 영적 간음으로 여기십니다.
❗ “바알브올”은 모압 지방에서 숭배되던 풍요의 신으로, 성적인 의식과 연결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2. 하나님의 진노와 명령 (4~5절)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수령들을 잡아 태양을 향해 목 매달라 명하십니다. 이는 공개적인 죄에 대한 공개적인 심판입니다. 이 명령은 당시 고대 사회의 풍습이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질투하심을 드러내는 것입니다.
3. 비느하스의 행동 (6~9절)
이스라엘의 회중이 회막 문에서 회개하며 울고 있을 때, 한 이스라엘 남자가 공공연히 미디안 여인을 데리고 등장합니다. 이는 하나님과 공동체를 조롱하는 행위였습니다.
이에 제사장 아론의 손자 비느하스가 일어나 창으로 그 두 사람을 죽이자, 하나님의 진노가 멈추고 재앙이 그칩니다.
🔥 비느하스는 하나님의 질투심을 공유하고 행동함으로써, 중보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합니다.
4. 하나님의 칭찬과 언약 (10~13절)
하나님은 비느하스의 열심을 인정하시고, **“평화의 언약”**을 주십니다. 이 언약은 그의 후손에게 영원한 제사장 직분으로 이어집니다. 비느하스의 행동은 잔혹함이 아니라, 하나님의 공의를 위한 거룩한 열정으로 인정된 것입니다.
5. 죄의 근원에 대한 경고 (14~18절)
죽임당한 자들의 정체가 공개되며, **지도자의 아들(시므리)**과 **수장의 딸(고스비)**이라는 점에서, 단순한 개인의 타락이 아니라 국가적 유혹과 타협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미디안 사람들을 치라 명하시며, 그들이 이스라엘을 음모와 속임수로 유혹했다고 경고하십니다.
묵상 포인트
- 하나님의 거룩하심은 타협이 없다
하나님은 백성의 죄를 가볍게 보지 않으시며, 특별히 우상 숭배와 음행은 그분의 질투를 일으킵니다. 우리는 오늘날 영적 정결함을 지키고 있는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 작은 타협이 큰 죄를 만든다
모압 여인들과의 작은 교제가 우상 숭배로 이어졌습니다. 신앙 안에서 경계가 흐려질 때 우리는 쉽게 죄에 노출됩니다. - 비느하스처럼 하나님을 위한 열정을 갖고 있는가?
비느하스는 회중이 머뭇거릴 때 나서서 행동했습니다. 우리도 세상과 타협하는 교회와 사회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대변할 용기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 하나님은 열정 있는 사람에게 상을 주신다
비느하스에게 ‘평화의 언약’을 주신 것처럼, 하나님을 향한 거룩한 열정은 반드시 기억되고 상급으로 보상됩니다.
기도문
거룩하신 하나님 아버지,
오늘 민수기 25장을 통해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질투하심을 다시금 깨닫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작은 타협으로 우상 숭배에 빠졌듯, 저의 삶 속에서도 타협과 나태함으로 하나님의 마음을 아프게 했던 부분이 있다면 용서해 주옵소서.
하나님, 비느하스처럼 하나님의 뜻을 향해 단호하게 행동하는 용기를 주소서.
사람을 의식하지 않고, 오직 주님을 향한 열심으로 살아가게 하시고,
하나님의 공의를 세우는 도구로 쓰임 받게 하옵소서.
세상이 악할지라도 거룩함을 지키며 살아가게 하시고,
하나님의 마음을 시원케 하는 자로 세워 주옵소서.
저의 삶이 하나님을 향한 열정으로 불타오르게 하시고,
하나님의 평화의 언약이 저와 가정과 교회 위에 임하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