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민수기 26장 52절에서 65절의 말씀입니다. 개역개정 성경(KRV) 기준
민수기 26:52-65 (개역개정)
52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53 이 명수대로 땅을 나누어 기업을 삼게 하라
54 수가 많은 자에게는 기업을 많이 주고 수가 적은 자에게는 기업을 적게 줄 것이라 각기 계수된 수대로 기업을 주되
55 오직 그 땅을 제비 뽑아 나누어 그 조상 지파의 이름을 따라 얻게 할지니라
56 그 다소를 막론하고 그 기업을 제비 뽑아 나눌지니라
57 레위인으로 계수된 자들의 종족은 이러하니 게르손에게서 난 자는 게르손 가족이요 고핫에게서 난 자는 고핫 가족이요 므라리에게서 난 자는 므라리 가족이라
58 이들은 레위 가족이라 즉 립니 가족과 헤브론 가족과 말리 가족과 무시 가족과 고라 가족이라 고핫은 아므람을 낳았으며
59 아므람의 아내의 이름은 요게벳이라 레위의 딸이니 애굽에서 레위에게서 낳았으며 아므람에게 아론과 모세와 그 누이 미리암을 낳았고
60 아론에게는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이 낳았더니
61 나답과 아비후는 다른 불을 여호와 앞에 드리다가 죽었더라
62 일 개월 이상으로 계수된 레위 남자는 모두 이만 삼천 명이니 그들은 이스라엘 자손 중에 계수되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그들에게 이스라엘 자손 중에 기업을 주지 아니함이었더라
63 이는 모세와 제사장 엘르아살이 여리고 맞은편 요단 가 모압 평지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계수한 자니라
64 이 계수된 자들 가운데에는 시내 광야에서 모세와 제사장 아론이 계수한 이스라엘 자손은 하나도 들지 못하였으니
65 이는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대하여 말씀하시기를 “그들이 반드시 광야에서 죽으리라” 하셨음이라 이 중에 누네 아들 여호수아와 여분네의 아들 갈렙 외에는 하나도 남지 아니하였더라
다음은 민수기 26장 52절에서 65절을 바탕으로 한 요약, 해설, 묵상, 기도문입니다. 길이는 약 3000자 이상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본문 요약
민수기 26장 52절부터 65절까지는 이스라엘 백성의 두 번째 인구조사를 마친 후, 하나님께서 가나안 땅을 이스라엘 지파에게 어떻게 분배할지를 지시하시는 장면이다. 하나님은 각 지파의 인구 수에 따라 기업(땅)을 분배하되, 제비뽑기를 통해 하나님의 뜻에 따라 정하게 하라고 명령하신다. 이때 레위 지파는 기업 분배 대상에서 제외되며, 오직 제사와 성막 봉사에 전념하는 특별한 사명을 지닌다. 이어서, 새로운 세대가 광야에서 태어났으며, 이전 세대는 여호와께 불순종했기에 모두 광야에서 죽고, 여호수아와 갈렙만이 약속의 땅에 들어갈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
해설
1. 공의와 은혜가 만나는 기업 분배 방식 (52-56절)
하나님은 땅을 단순히 인구 수에 따라 기계적으로 분배하라고 하지 않으셨다. 인구 수는 고려되지만, 결정적인 것은 **‘제비뽑기’**이다. 이는 인간의 기준이 아닌 하나님의 주권에 따라 땅이 분배됨을 의미한다(잠 16:33). 수가 많다고 무조건 좋은 땅을 얻는 것도 아니고, 수가 적다고 나쁜 땅을 받는 것도 아니다. 하나님은 질서와 공의 가운데에서 각 지파가 감당할 수 있는 기업을 주셨으며, 그 방식 안에는 하나님의 지혜와 섭리가 담겨 있다.
2. 레위인의 구별됨 (57-62절)
레위 지파는 일반 기업을 받지 않았다. 이들은 하나님께 특별히 구별된 자들로, 성막에서 봉사하며 하나님께 드려지는 일을 담당했다. 이들의 생계는 이스라엘 백성이 바치는 십일조와 제사 제물의 일부로 유지되었다. 이 장면은 하나님의 백성 가운데 ‘거룩히 구별된 삶’의 중요성과, 하나님만을 기업으로 삼는 믿음의 삶이 어떤 의미인지를 보여준다.
3. 이전 세대의 심판과 새로운 세대의 등장 (63-65절)
모세와 엘르아살이 요단강 동쪽 모압 평지에서 새롭게 계수한 이스라엘 백성은 광야 40년 전, 시내산에서 계수된 세대와는 완전히 다른 인물들이었다. 이는 하나님께 불순종한 자들은 약속의 땅에 들어가지 못한다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보여준다. 단 두 사람, 여호수아와 갈렙만이 그 약속을 끝까지 믿고 따랐기에 유일하게 살아남아 땅을 밟게 되었다.
묵상
1. 우리는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기업’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본문은 단순한 인구 조사나 행정적 분배를 넘어서, 하나님의 백성에게 주시는 **‘영적인 기업’**에 대해 묵상하게 한다. 우리는 종종 내가 받을 몫이 작다고 불평하거나, 다른 사람의 몫을 부러워하곤 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각 사람에게 가장 적절한 분량과 위치를 주신다. 그 기업이 크든 작든,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하나님을 신뢰하며 그 자리에서 신실하게 살아내는 것이다.
2. 레위인의 삶, 하나님만이 기업이 되심
레위인은 땅이 없었지만, 그들에게는 하나님 자신이 기업이 되셨다(신명기 10:9). 오늘날 우리는 얼마나 ‘하나님만으로 만족’하며 살아가고 있는가? 우리는 하나님보다 직장, 소유, 성취, 관계 등 ‘가시적인 기업’에 더 집착하고 있지는 않은가? 레위인의 삶은 우리에게 ‘진정한 기업’이 무엇인지를 되묻게 한다.
3. 불순종은 약속을 잃게 하며, 순종은 약속을 이룬다
광야에서 태어난 새로운 세대가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고, 이전 세대는 불순종으로 인해 모두 죽었다. 이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강한 경고이자 도전이 된다. 단순히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이름만으로 약속의 성취를 누릴 수 없다. 믿음과 순종이 동반되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인내와 충성은 필수적이다.
기도문
사랑의 하나님,
오늘 말씀을 통해 저희에게 주시는 기업이 단지 땅이나 재물, 환경이 아니라
하나님 당신 자신이심을 깨닫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제가 지금 서 있는 자리가 크든 작든, 높든 낮든,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제비뽑기’의 결과임을 믿으며 감사하게 하소서.
레위인처럼 땅이 없을지라도, 하나님만으로 만족하는 삶을 살게 하시고,
세상의 풍요보다 주의 임재를 더욱 사모하게 하소서.
여호수아와 갈렙처럼 변함없는 믿음과 순종으로
주님의 약속을 끝까지 붙잡는 자 되게 하옵소서.
광야에서 불순종으로 넘어졌던 이전 세대를 기억하며
제 마음과 삶을 날마다 성찰하게 하시고,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걷는 삶을 살게 하소서.
주께서 허락하시는 기업을 기쁨으로 받고,
그 기업 가운데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통로로 살아가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