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에스겔 4:1~17의 성경 본문(개역개정)입니다:


에스겔 4장 1절~17절 (개역개정)

  1. 인자야 너는 토판을 가져다가 그것을 네 앞에 놓고 그 위에 예루살렘 성읍을 그리되
  2. 그 성읍을 에워싸되 군대를 두고 그것을 치며 공성퇴를 쌓고 운제틀을 설치하고 사면에 진을 치고 공성퇴를 둘러 세우고
  3. 또 철판을 가져다가 너와 성읍 사이에 두어 철벽이 되게 하고 너는 그것을 향하여 얼굴을 고정하고 그것을 에워싸라 이것이 이스라엘 족속에게 징조가 되리라
  4. 너는 또 왼쪽으로 누워서 이스라엘 족속의 죄악을 짊어지되 네가 눕는 날수대로 그 죄악을 담당할지니라
  5. 내가 그들의 죄악의 해 수대로 네게 날수를 정하였나니 곧 삼백구십 일이라 너는 이스라엘 족속의 죄악을 담당하고
  6. 그 수가 차거든 너는 오른쪽으로 누워 유다 족속의 죄악을 담당하라 내가 네게 사십 일로 정하였나니 하루가 일 년이니라
  7. 너는 또 예루살렘을 향하여 네 얼굴을 고정하고 팔을 걷어 올리고 예언하라
  8. 내가 줄로 너를 동이리니 네가 몸을 이리저리 돌리지 못하리라 내가 너를 칠 날이 차기까지 이같이 하리라
  9. 너는 밀과 보리와 콩과 팥과 조와 귀리를 가져다가 한 그릇에 담고 그것으로 너를 위하여 떡을 만들어 네가 옆으로 누워 있는 날수 곧 삼백구십 일을 먹되
  10. 너는 음식물을 달아서 하루 이십 세겔씩 떼어 날마다 정한 때에 먹고
  11. 물도 육분의 일 힌을 되어 마시되 날마다 정한 때에 마시라
  12. 너는 그것을 보리떡처럼 만들어 먹되 그들의 목전에서 사람의 인분을 불사르고 구울지니라
  13.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이와 같이 이스라엘 자손이 내가 그들을 쫓아 여러 나라에 흩어버릴 때에 거기서 부정한 떡을 먹으리라 하시기로
  14. 내가 말하되 아하 주 여호와여 나는 영혼이 더럽혀진 일이 없어서 어려서부터 지금까지 스스로 죽은 것이나 찍힌 것을 먹지 아니하였고 가증한 고기를 입에 넣지 아니하였나이다
  15.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내가 사람의 인분 대신에 소의 똥을 주노니 너는 그것으로 떡을 구울지니라
  16. 또 내게 이르시되 인자야 내가 예루살렘에서 의뢰하는 양식을 끊으리니 백성이 근심 중에 떡을 달아 먹고 두려워 떨며 물을 되어 마시다가
  17. 떡과 물이 부족하여 피차에 두려워하며 자기 죄악 중에서 쇠패하리라

 

 아래는 에스겔 4:1–17의 말씀을 바탕으로 한 본문 요약, 신학적 해석, 관련 말씀 구절, 깊이 있는 묵상, 그리고 기도문을 정리한 글입니다.


에스겔 4장 1~17절 말씀 묵상

“예루살렘을 향한 하나님의 경고: 상징으로 선포되는 심판”

1. 본문 요약

에스겔 4장은 이스라엘과 유다 백성의 죄로 인한 심판을 하나님께서 에스겔을 통해 상징적으로 선포하시는 장면입니다.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구체적인 행동을 명령하십니다. 그는 토판에 예루살렘을 그리고, 그것을 군사적으로 포위하며 철판을 세워 백성과 하나님 사이의 단절을 보여 줍니다(1-3절). 그리고 에스겔은 왼쪽으로 390일, 오른쪽으로 40일 누워 이스라엘과 유다의 죄악을 짊어져야 합니다(4-6절).

에스겔은 예루살렘을 향해 팔을 걷고 예언하며,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나님께서 줄로 묶이게 하십니다(7-8절). 그는 일정량의 곡식으로 떡을 만들어 정해진 양의 음식과 물만을 섭취하게 되며(9-11절), 처음에는 인분으로 떡을 구우라는 명령을 받지만 그의 간청으로 소똥으로 대체됩니다(12-15절). 이것은 이스라엘이 포로지에서 부정한 음식을 먹게 될 것을 상징합니다. 마지막으로 예루살렘의 백성이 굶주림과 공포 속에서 서로 두려워하며 멸망하게 될 것을 경고하십니다(16-17절).

2. 신학적 해석

① 상징 행동을 통한 하나님의 메시지

에스겔서의 독특한 점 중 하나는 ‘행동 예언(Action Prophecy)’입니다. 하나님은 에스겔을 통해 단순한 말이 아니라, 상징적인 행동을 통해 말씀하십니다. 이는 말에 무감각해진 백성의 마음을 흔들고, 보다 깊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하나님의 방식입니다.

② 하나님의 철저한 공의

에스겔이 왼쪽으로 390일, 오른쪽으로 40일을 누워 있는 상징은 북이스라엘과 남유다가 오랜 세월 동안 범한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철저한 심판을 의미합니다. “하루가 일 년”이라는 말은 죄에 대한 하나님의 계산이 정밀하고 정의롭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하나님의 인내는 무한하나, 공의 역시 결코 타협되지 않습니다.

③ 포로 생활의 현실적인 고통

곡식을 섞은 떡과 제한된 물, 그리고 인분으로 구운 떡은 바벨론 포로로 끌려가 겪게 될 비참한 현실을 상징합니다. 이는 단순히 식량의 부족만이 아니라, 이스라엘이 잃어버릴 ‘거룩함’, ‘정결함’, ‘자유’에 대한 상징이기도 합니다. 예루살렘에서의 삶이 더 이상 하나님과의 언약 안에 있지 않다는 슬픈 선언입니다.

④ 예언자적 고난과 대속

에스겔은 상징적인 방식으로 백성의 죄를 ‘짊어지는’ 예언자의 역할을 감당합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신약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온 인류의 죄를 짊어지신 구속의 사역을 예표합니다. 에스겔은 말없이 고난을 당하지만, 그의 고난은 백성에게 경고와 회개의 메시지를 줍니다.


3. 관련 말씀 구절

  • 이사야 20:3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나의 종 이사야가 벗은 몸과 벗은 발로 삼 년 동안 다니며 애굽과 구스에 대하여 징조와 예표가 되었느니라.”
    → 이사야 역시 행동 예언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전했던 선지자였습니다.

  • 레위기 26:26
    “내가 너희가 의뢰하는 양식을 끊을 것이라…”
    → 에스겔 4장에서의 양식 절제는 레위기의 저주 조항과 일맥상통합니다.

  • 히브리서 13:12-13
    “그러므로 예수도 자기 피로서 백성을 거룩하게 하려고 성문 밖에서 고난을 받으셨느니라. 그런즉 우리도 그의 치욕을 짊어지고 영문 밖으로 그에게 나아가자.”
    → 에스겔이 고난을 감당한 모습은 예수님의 고난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4. 깊이 있는 묵상

“입술보다 몸으로 전하는 복음”

하나님은 때로 말보다 행동을 통해 복음을 전하십니다. 에스겔은 말 대신 온몸으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그는 390일, 40일 동안 한 자세로 누워야 했고, 음식과 물도 제한되며, 수치심까지 감내해야 했습니다. 사람들의 시선 속에서 그는 고통스럽게 침묵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침묵 속에는 하나님이 심판하시고자 하는 ‘백성의 완고함’과 ‘깊은 사랑’이 함께 담겨 있었습니다.

우리도 신앙의 삶에서 말보다 삶으로, 입술보다 몸으로 하나님을 증언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삶이 곧 메시지가 되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손해를 감수하고도 정직함을 지키는 것, 사랑이 식은 시대에 먼저 섬기는 것, 용서할 수 없는 이를 품는 것—이 모두는 오늘날 우리가 감당해야 할 ‘행동 예언’입니다.

“거룩함을 잃은 땅”

에스겔이 인분으로 떡을 구워야 했다는 상징은 충격적입니다. 그것은 단지 음식의 문제가 아니라, 거룩과 속됨이 뒤섞인 삶에 대한 하나님의 탄식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진리와 거짓이, 거룩함과 세속이 혼재된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세상의 조롱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것이 때로는 부끄러움을 동반합니다. 그러나 그 속에서 하나님의 뜻은 더 분명해집니다. “내 백성이 거룩함을 회복하기를 원하신다.”


5. 기도문

[고난 중에서도 하나님의 뜻을 증언하게 하소서]

주 하나님,
오늘 에스겔의 모습을 통해
삶으로 복음을 전해야 했던 고통의 무게를 묵상합니다.
그는 말없이 누워야 했고,
제한된 음식과 불결한 떡을 먹으며
죄악 가운데 있는 백성을 대신해 짊어져야 했습니다.
그 모습 속에서, 저희도 예수님의 그림자를 봅니다.
세상의 죄를 짊어지고 침묵하신 어린 양,
그분의 고난 안에서 우리의 회복이 시작되었음을 믿습니다.

주님,
우리도 말보다 행동으로
복음을 증거하게 하소서.
삶으로 하나님의 거룩함을 드러내며,
작은 희생이라도 기꺼이 감당하게 하소서.
세상에 뒤섞여 부정한 것을 선택하기보다
거룩함을 지키는 백성으로 살게 하소서.

주님,
저희 안에 있는 예루살렘의 죄를 보게 하시고
돌이켜 회개하게 하소서.
심판은 경고이며, 동시에 자비임을 깨닫게 하시고
오늘도 우리에게 주신 생명의 말씀을
정결함으로 순종하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한 줄 묵상
“말보다 행동으로 말씀하시는 하나님, 오늘도 내 삶이 주의 예언이 되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