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3장 21절부터 31절까지의 개역개정 본문입니다:
로마서 3:21~31 (개역개정)
21 이제는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 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증거를 받은 것이라
22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니 차별이 없느니라
23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2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속량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25 이 예수를 하나님이 그의 피로써 믿음으로 말미암는 화목제물로 세우셨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길이 참으시는 중에 전에 지은 죄를 간과하심으로
26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려 하심이니 곧 이 때에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사 자기도 의로우시며 또한 예수 믿는 자를 의롭다 하려 하심이라
27 그런즉 자랑할 데가 어디냐 있을 수가 없느니라 무슨 법으로냐 행위로냐 아니라 오직 믿음의 법으로니라
28 그러므로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믿음으로 되는 줄 우리가 인정하노라
29 하나님은 다만 유대인의 하나님이시냐 또 이방인의 하나님은 아니시냐 진실로 이방인의 하나님도 되시느니라
30 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또한 무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실 하나님은 한 분이시니라
31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파기하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로마서 3장 21절부터 31절까지를 중심으로 본문 요약, 신학적 해석, 관련 말씀, 묵상, 그리고 기도문을 정리했습니다.
로마서 3장 21절~31절 묵상: 믿음으로 얻는 하나님의 의
1. 본문 요약
사도 바울은 로마서 1장부터 3장 중반까지 인류의 보편적인 죄악과 하나님의 심판 앞에 누구도 의롭다 할 수 없음을 강조합니다. 유대인도, 이방인도, 율법을 가진 자도, 율법이 없는 자도 모두 죄 아래에 있으며,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다”(롬 3:10)라는 말씀으로 모든 사람의 절망적인 상태를 드러냅니다.
그러나 21절에서 바울은 “이제는”이라는 전환점을 통해 복음의 핵심을 선포합니다.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는데, 그것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주어지는 하나님의 의입니다. 이 의는 차별 없이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며, 모든 죄인이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길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열렸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화목제물로 주어지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공의를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나타내는 사건입니다. 따라서 의롭다 하심은 율법의 행위가 아니라 믿음으로 주어지며, 자랑할 것이 전혀 없습니다.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 동일한 하나님 앞에서 동일한 믿음을 통해 구원에 이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바울은 믿음이 율법을 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율법을 온전히 세운다고 강조합니다.
2. 신학적 해석
(1) 율법과 복음의 관계
바울은 율법이 결코 무가치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율법은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드러내며 인간의 죄를 폭로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율법 자체로는 인간을 의롭게 하지 못합니다. 율법이 증거해온 바, 그 성취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입니다(마 5:17). 그러므로 복음은 율법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율법의 완성을 보여줍니다.
(2) 하나님의 의
여기서 “하나님의 의”는 인간이 하나님 앞에서 행위로 만들어내는 도덕적 의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은혜로 주시는 의를 뜻합니다. 이는 전가(imputation)의 개념과도 연결됩니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의가 믿는 자들에게 전가되어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함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고후 5:21).
(3) 예수 그리스도의 속량과 화목제물
속량은 노예가 값을 치르고 자유를 얻는 개념에서 유래했습니다. 예수께서는 십자가에서 자신의 생명을 대속의 값으로 내어주심으로 우리를 죄와 사망에서 해방시키셨습니다(막 10:45). 또한 “화목제물”(헬라어 힐라스테리온)은 구약의 속죄소 개념을 떠올리게 합니다. 예수는 하나님의 진노를 가라앉히는 제물로 주어지셨고, 동시에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평화를 이루셨습니다(엡 2:14-16).
(4) 믿음으로 얻는 의
의롭다 하심은 “믿음으로” 주어집니다. 이는 인간의 자랑을 철저히 배제합니다. 믿음은 우리의 공로나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선물이며(엡 2:8-9),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붙드는 통로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자랑할 수 없고, 오직 은혜와 십자가만을 의지하게 됩니다.
(5)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원
바울은 하나님이 유대인의 하나님일 뿐 아니라 이방인의 하나님이심을 선언합니다. 구원은 민족이나 혈통, 율법의 소유 여부와 무관하게 오직 믿음으로 주어집니다. 이는 구약에서 아브라함이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은 사례(창 15:6, 롬 4:3)와 연결됩니다.
3. 관련 말씀 구절
- 창세기 15:6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로 여기시고.”
→ 믿음을 통한 의의 전가가 이미 구약에서 시작되었음을 보여줍니다. - 이사야 53:5-6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을 예언적으로 드러냅니다. - 요한복음 1:29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
→ 예수께서 화목제물이자 대속 제물 되심을 선포합니다. - 갈라디아서 2:16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로 말미암음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아는 고로…”
→ 바울의 일관된 복음의 핵심 진술입니다. - 에베소서 2:8-9
“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 이는 누구든지 자랑하지 못하게 함이라.”
4. 깊이 있는 묵상
우리는 종종 하나님 앞에서 무언가 자랑하고 싶은 유혹을 받습니다. 신앙의 열심, 봉사, 선행, 도덕적 삶이 나를 의롭게 만든다고 착각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단호히 말합니다. “자랑할 데가 어디냐? 있을 수가 없느니라”(롬 3:27).
십자가 앞에서 우리는 모두 동일합니다. 지식이 많은 자나 적은 자, 유대인이나 이방인, 오래 믿은 자나 이제 막 믿음을 가진 자나 모두 동일하게 죄인이며, 동일하게 은혜를 덧입은 자입니다. 그러므로 교만할 수 없고, 다른 사람을 정죄할 수 없습니다.
또한 믿음으로 얻는 구원은 단순히 법적 지위의 변화에 그치지 않습니다.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의미합니다. “화목제물” 되신 예수 안에서 우리는 하나님과 화해하고, 더 나아가 이웃과 화해하며 살아가는 삶으로 부름받았습니다. 믿음은 단순히 머리로 동의하는 차원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 우리의 전 존재를 의탁하는 행위입니다.
마지막으로, 믿음이 율법을 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율법을 세운다는 바울의 진술은 우리에게 중요한 균형을 제시합니다. 우리는 율법의 행위로 구원받지 않지만, 은혜로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로서 하나님의 뜻을 기쁨으로 따라야 합니다. 은혜는 방종이 아니라 순종의 동기를 낳습니다.
5. 기도문
사랑과 은혜의 하나님,
오늘 말씀을 통해 저의 무력함을 고백합니다.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여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였으나,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주신 은혜를 찬양합니다.
주님, 제 안에 남아 있는 자랑과 교만을 무너뜨려 주옵소서.
십자가 앞에 서게 하시고, 오직 그리스도의 의만을 붙들게 하옵소서.
내 행위나 공로가 아니라 믿음을 통한 하나님의 의를 날마다 누리게 하옵소서.
예수께서 화목제물 되셨음을 깊이 붙잡게 하시고,
하나님과 화해한 자로서 이웃과도 화평을 이루는 삶을 살게 하옵소서.
율법을 폐하는 자가 아니라, 은혜 안에서 율법을 온전히 세우는 자가 되게 하옵소서.
오늘도 유대인과 이방인을 차별하지 않으시고
모든 믿는 자를 자녀 삼으신 그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저의 삶이 오직 주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산 제사로 드려지게 하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