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4장 1절~8절 개역개정 본문을 드리겠습니다.


로마서 4:1~8 (개역개정)

1 그런즉 육신으로 우리 조상인 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 하리요
2 만일 아브라함이 행위로써 의롭다 하심을 얻었으면 자랑할 것이 있으려니와 하나님 앞에서는 없느니라
3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진 바 되었느니라
4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이 은혜로 여겨지지 아니하고 보수로 여겨지거니와
5 일을 아니할지라도 경건하지 아니한 자를 의롭다 하시는 이를 믿는 자에게는 그의 믿음을 의로 여기시나니
6 일한 것이 없이 하나님께 의로 여기심을 받는 사람의 복에 대하여 다윗이 말한 바
7 불법이 사함을 받고 죄가 가리어짐을 받는 사람은 복이 있고
8 주께서 그 죄를 인정하지 아니하실 사람은 복이 있도다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 4:1–8(개역개정) — 본문 요약 · 신학적 해석 · 관련 말씀 · 깊이 있는 묵상 · 기도문


1. 본문 요약

로마서 4:1–8은 바울이 ‘의롭다함(정당화)’의 근거가 행위가 아니라 믿음임을 설명하기 위해 아브라함과 다윗을 예로 드는 부분입니다. 바울은 먼저 아브라함이 행위로 의롭다함을 얻었다면 자랑할 여지가 있었을 것임을 말합니다(1–2절). 그러나 성경(창세기 15:6)을 인용하여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졌다’고 증거합니다(3절). 이어서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이 은혜로 여겨지지 않고 보수로 여겨진다’는 원리를 들어(4절) 하나님께서 ‘일하지 않는 자, 곧 경건치 않은 자를 의롭다 하시는 이를 믿는 자의 믿음을 의로 여기신다’(5절)고 말합니다. 그런 후 다윗의 말씀(시편 32:1–2)을 인용하여 ‘불법이 사함을 받고 죄가 가려짐을 받은 사람’과 ‘주께서 그 죄를 인정하지 아니하실 사람’이 복이 있음을 밝힙니다(6–8절). 핵심은, 의롭다 하심은 인간의 공로가 아니라 하나님 은혜 안에서의 ‘믿음’에 근거한다는 것입니다.


2. 신학적 해석 (핵심 포인트와 의미)

(1) 의롭다 하심의 근거: 행위가 아닌 믿음

바울은 아브라함(유대인의 가장 존경받는 조상)을 사례로 사용하여 ‘율법적 행위’가 아니라 ‘믿음’이 의의 근거임을 보입니다. 만약 의가 행위에서 온다면 인간은 자랑할 것이 있지만, 하나님 앞에서는 자랑할 것이 없습니다. 이는 의가 ‘보수(earnings)’가 아니라 ‘은혜(grace)’라는 기초적 신학 진술입니다.

(2) ‘삯’과 ‘은혜’의 대조

“일하는 자에게는 그 삯이 … 보수로 여겨진다”는 말은, 인간의 행위가 의의 근거가 되면 그것은 더 이상 은혜가 아니라 계약적 보수라는 논리입니다. 은혜는 무상(無償)이며, 하나님께서 베푸시는 호의입니다. 따라서 인간의 의를 ‘벌’처럼 요구할 수 없습니다.

(3) 믿음의 대상과 성격

바울 표현 “일하지 않는 자를 의롭다 하시는 이를 믿는 자”는 믿음의 대상이 ‘일하시는 하나님’임을 가리킵니다. 즉, 인간의 불충분함을 전제로 하나님을 신뢰하는 자가 의로 여겨진다는 역설적 진리입니다. 믿음은 단순한 인지 동의가 아니라 ‘하나님께 의탁하는 신뢰적 행위’입니다.

(4) 다윗의 인용: 용서와 복(능력으로서의 의롭다함)

다윗(시편)의 인용은 용서받은 자가 복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불법(iniquity)이 사함을 받고 죄가 가려짐을 받은 자’와 ‘주께서 그 죄를 인정하지 아니하실 자’는 복되다 — 이는 하나님이 죄를 탓하지 않으신다는 ‘불기소 선언’(forensic not-imputation)을 함의합니다. 즉 하나님은 죄책을 계산하지 않으신다(원죄나 현재의 죄를 회계장부에 올리지 않으신다)는 선언입니다.

(5) 아브라함의 예증이 주는 보편성

아브라함은 할례 이전에도 의로 여김을 받았으므로(창 15장) 바울은 의로움이 유대인 전통 행위(율법·의식) 이전에 존재함을 주장합니다. 이것은 복음이 유대인 전용이 아님을, 오히려 모든 인류가 믿음으로 하나님과 바로 설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6) 신학적 연결고리 — ‘대속적·대위적’ 이해와 ‘피고·판결’ 개념

바울은 ‘의로 여김’(credited righteousness)을 사용하여 사법적 정당성(forensic justification)을 제시합니다. 신학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대신 담당)의 공로와, 믿음으로 그 공로가 우리에게 ‘전가(imputation)’된다는 교리와 연결됩니다(다만 본문 자체는 구체적 그리스도론적 설명 대신 믿음과 용서의 원리를 중심으로 전개).


3. 관련 말씀 (묵상·토의에 유용한 성구들)

  • 창세기 15:6 —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의로 여기셨더라.” (아브라함의 믿음 사건)
  • 시편 32:1–2 — “복 있는 사람은…” (다윗의 용서 선언)
  • 로마서 3:28 —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행위로 아니하고 믿음으로 되는 줄을 우리가 인정하노라.”
  • 로마서 5:1–2 —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 갈라디아서 2:16 — “사람이 율법의 행위로 의롭게 될 수 없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 에베소서 2:8–9 — “너희가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었나니…”
  • 야고보서 2:14–26 —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라” (행위와 믿음의 관계를 균형 있게 다룸)
  • 히브리서 11장 — 믿음의 선조들의 신앙적 본보기(아브라함 포함)

4. 깊이 있는 묵상 (개인적·공동체적 적용을 위한 길잡이)

(A) 믿음과 불안 사이에서

본문은 우리 신앙의 근원을 ‘자기 노력’에서 ‘하나님’으로 되돌립니다. 우리는 자주 ‘하나님 앞에서 옳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며 불안을 느낍니다. 그러나 ‘의롭다 하심’은 우리의 완전함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에 근거합니다. 묵상 포인트: 오늘 당신의 불안은 ‘내가 잘하고 있나’에서 오는가, 아니면 ‘하나님이 내가 간구할만큼 자비롭냐’에 기초한가?

(B) 회개와 안식의 균형

다윗은 죄의 용서에서 오는 복을 노래합니다. 회개는 죄를 지적하고 스스로를 낮추는 과정이지만, 동시에 용서를 경험할 때 비로소 안식을 누립니다. 묵상 질문: 나는 죄를 고백하는 것에서 머무는가, 아니면 용서의 안식으로 나아가는가?

(C) 믿음은 행동을 부른다

본문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주장하지만, 야고보서는 ‘행함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 말합니다. 진정한 믿음은 예수께 맡겨진 삶에서 열매로 드러납니다. 이는 ‘자랑’의 문제가 아니라 ‘감사’의 결과로 나타납니다. 묵상 과제: 오늘 나의 믿음은 어떤 구체적 사랑의 행동으로 드러나고 있는가?

(D) 자랑의 해체와 겸손의 회복

만약 의가 내 업적으로부터 온다면, 나는 자랑할 것이다. 바울은 그것을 부정함으로써 우리를 겸손의 자리로 이끕니다. 참된 신앙은 하나님 앞에서 ‘나의 무능력’을 인정하고 ‘그분의 능력’을 신뢰하게 합니다. 묵상 실습: 하루 동안 ‘자랑하려는 생각’이 올라올 때마다 짧게 “주여, 나의 자랑이 아닌 주님의 사랑으로 살게 하소서”라고 기도해 보라.

(E) 공동체적 함의 — 용서와 수용

교회 공동체가 이 진리를 붙들면, 서로를 판단하거나 배제하기보다 회복과 수용의 공동체가 됩니다. 죄를 숨기거나 연기하는 자를 정죄하기보다, 회개의 길을 열어주고 하나님의 용서를 증거해야 합니다. 실천 팁: 공동체 내에서 ‘용서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정기적으로 갖자.


5. 적용(작은 실천 지침)

  1. 매일 자신이 의지하는 ‘근거’를 점검하라 — 행위인가, 은혜인가?
  2. 죄를 숨기지 말고 고백하라. 고백은 용서로 가는 길의 첫걸음이다.
  3. 믿음의 열매를 점검하라 — 사랑·섬김·정직 같은 행동이 있는가?
  4. 성경(창 15:6, 시 32, 롬 5장 등)을 암송하고 반복하여 믿음의 근거를 확증하라.
  5. 공동체에서 서로의 연약함을 도와주는 ‘회복 파트너’를 세우라.

6. 기도문 (여러 상황에 맞춘 기도)

(A) 회개와 확신을 위한 기도

주님, 나의 연약함을 고백합니다. 스스로 의롭다 여기려 했던 모든 자랑을 내려놓게 하시고, 오직 당신의 은혜만을 의지하게 하소서. 내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자임을 의심할 때마다 성령께서 나를 붙들어 주시고, 죄를 고백할 용기와 용서를 받아 누리는 평강을 허락하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B) 새로운 하루를 여는 감사의 기도

하나님, 오늘도 당신의 은혜로 새롭게 하심에 감사드립니다. 내가 어떤 일을 하든 그것이 나의 의로움의 근거가 아님을 기억하게 하시고, 모든 선한 행위가 감사와 겸손의 열매가 되게 하옵소서. 믿음으로 살게 하시고, 내 삶을 통해 당신의 공의와 사랑이 드러나게 하옵소서. 아멘.

(C) 공동체를 위한 기도

주님, 우리 교회를 불의와 판단의 장소가 아니라 회복과 용서의 공동체로 세워 주옵소서. 서로를 정죄하지 않고, 죄에서 돌이키며 서로의 짐을 나누는 자들이 되게 하시며, 주께서 주시는 은혜를 서로 나누게 하옵소서. 모든 갈등 가운데도 화해의 길을 열어 주시고, 당신의 사랑으로 하나 되게 하옵소서. 아멘.

(D) 죄책감과 불안에서 벗어나게 하는 기도

자비로우신 하나님, 내 마음에 있는 죄책감과 불안을 주님께 내어놓습니다. 주께서 이미 나의 죄를 사해 주셨고, 다시는 그것을 나에게 돌리지 않으신다는 약속을 믿게 하옵소서. 내 삶을 당신 손에 맡기며, 당신의 평강이 내 마음을 지키게 하옵소서. 예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마무리 말씀

로마서 4:1–8은 우리가 ‘무엇을 의지하여 하나님 앞에 설 것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집니다. 바울은 그 해답으로 ‘아브라함의 믿음’을 제시하며, 의는 인간의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께 대한 신뢰에 근거한다고 선언합니다. 이 진리는 우리에게 큰 위안이자 도전입니다 — 위안은 우리가 은혜로 받아 새로워질 수 있다는 것이고, 도전은 그 은혜에 합당하게 감사와 행위를 통해 열매를 맺어야 한다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