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8:18~30 (개역개정)
18 생각하건대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비교할 수 없도다
19 피조물이 고대하는 바는 하나님의 아들들이 나타나는 것이니
20 피조물이 허무한데 굴복하는 것은 자기 뜻이 아니요 오직 굴복하게 하시는 이로 말미암음이라
21 그 바라는 것은 피조물도 썩어짐의 종 노릇 한 데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에 이르는 것이니라
22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
23 그뿐 아니라 또한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
24 우리가 소망으로 구원을 얻었으매 보이는 소망이 소망이 아니니 보는 것을 누가 바라리요
25 만일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을 바라면 참음으로 기다릴지니라
26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27 마음을 살피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니 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
28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29 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을 또한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하셨으니 이는 그로 많은 형제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
30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1. 본문 요약
로마서 8장 18절부터 30절은 바울이 현재의 고난과 장차 올 영광을 대조하면서 그리스도인의 소망과 구원의 과정(예정→부르심→의롭다 하심→영광)을 설명하는 핵심 구절입니다. 창조세계도 ‘하나님의 아들들이 나타나심’을 기다리며 탄식하고 있고, 성령은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며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십니다. 결국 하나님은 그를 사랑하는 자들, 곧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받은 자들에게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며, 미리 아신 자들을 그의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하여 예정하시고 부르시며 의롭다 하시고 영화롭게 하신다고 선언하십니다.
2. 신학적(주해적) 해석
2.1 현재의 고난과 장차의 영광 (18절)
“현재의 고난”은 바울이 말하는 현세의 고난, 박해, 연단, 육체의 약함과 상황적 고난을 포함합니다. 그런데 바울은 이것을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비교하여 “비교할 수 없다”고 단언합니다. 신학적으로 이는 그리스도인의 소망이 단순한 낙관적 심리가 아니라 역사와 창조를 관통하는 새 창조에 참여하는 심오한 영광임을 말합니다(요한복음·계시록적 종말론의 연장).
2.2 피조물의 탄식과 창조 구원(19–22절)
“피조물이 고대하는 바”는 창조세계의 종말론적 기대를 말합니다. 창조가 ‘허무’에 굴복한 상태(사망과 부패의 권세 아래 있음)를 벗어나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에 이르는 날을 기다립니다. 이는 인간 구원만이 아니라 우주적 회복(cosmic restoration)을 포함하는 ‘구속'(redemption)의 시각입니다. 창조의 탄식은 단지 비유가 아니라 창조가 현재의 죄와 타락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3 성령의 중보 사역과 현재의 연약(23–27절)
바울은 성도의 현재 상태를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자’로 규정합니다. 성령은 보증(보증의 의미는 ‘firstfruits’ 혹은 ‘보증금’의 이미지)으로서 우리 안에 계시며, 우리의 ‘속량'(몸의 속량—부활과 변형)을 기다리게 합니다. 성령은 우리가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 모를 때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친히 간구하시며, 그 중보 기도는 하나님의 뜻에 따라 성도를 위해 상응하는 기도를 드리십니다. 여기서 ‘마음을 살피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신다’는 바로 하나님 아버지께서 성령의 중보를 이해하시고 응답하심을 뜻합니다.
2.4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28절)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룬다”는 유명한 구절은 하나님의 주권적 섭리와 동시에 그분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라는 조건을 붙입니다. 즉 하나님의 섭리는 단순히 운명적 강제도, 인간의 무책임도 아닙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면서 그분의 사랑과 목적(그리스도의 형상으로의 변화)을 인격적 신앙자의 삶과 연결합니다.
2.5 예정(predestination)과 구원의 순서(29–30절)
바울은 ‘미리 아심 → 미리 정하심(예정) → 부르심 → 의롭다 하심 → 영화롭게 하심’이라는 구원의 연속적·종결적 틀을 제시합니다. 신학적으로 이 구절은 예정의 목적(목표)이 ‘그 아들의 형상 본받음'(conformation to the image of the Son)임을 분명히 합니다. 즉 예정은 단순히 선택의 목록 작성이 아니라 성화와 연관된 목적론적 예정입니다. 바울은 이 일련의 행위를 단번에 과거형으로 말함으로써(“또한 의롭다 하시고…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하나님의 구속사적 확정성을 강조합니다—하나님의 계획은 이미 현실적으로 성취될 것이며, 믿는 자는 그 안에서 확신을 가질 수 있다는 위로를 줍니다.
3. 관련 말씀(인용·교차참조) 및 짧은 해설
고린도후서 4:16–18 — 바울이 고난과 영광의 대비를 말하면서 보이는 것은 잠깐이고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을 강조. (현재 고난의 시각을 영원한 영광과 비교)
고린도후서 5:1–5 — 우리의 장막(육체)이 해짐을 벗어나 집을 얻으리라는 소망(몸의 속량과 부활에 대한 가르침).
갈라디아서 4:4–7 — 아들의 지위를 강조하며 ‘양자됨’과 관련된 신학적 배경.
에베소서 1:3–14 — 선택과 예정, 성령의 보증(인)의 개념이 풍부하게 전개됨.
빌립보서 3:20–21 — 우리의 시민권이 하늘에 있으며 예수께서 우리의 몸을 변화시키실 것을 약속.
로마서 5:3–5 — 고난이 인내를, 인내가 연단을, 연단이 소망을 생산한다는 바울의 신앙 심리학.
요한계시록 21–22장 — 새 하늘과 새 땅, 모든 피눈물과 사망이 사라짐(창조의 회복과 영광의 완성).
(각 구절은 본문 해석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 구속사적 시야에서 본 로마서 8장의 메시지를 보강합니다.)
4. 깊이 있는 묵상 (적용과 영적 질문)
1. 고난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바울은 고난을 부정하거나 회피하지 않습니다. 대신 고난을 ‘영광과 비교’합니다. 이것은 고난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영적 훈련입니다. 우리가 당하는 시련은 무의미한 고통이 아니라 장차 드러날 영광의 전초(予告)라는 관점에서 볼 때, 고난은 인내와 소망을 단련하는 하나님의 도구가 됩니다.
2. 우리는 ‘이미’ 무엇을 가지는가?
성령을 통한 ‘이미 받은 보증’—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은 우리의 소망이 헛되지 않음을 확증합니다. 우리는 이미 하나님의 아들·딸로서의 신분을 갖고 있으며, 궁극적 변형(속량)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확실히 보증되어 있습니다. 이 ‘이미-아직’의 긴장 속에서 신앙은 겸손과 감사, 기다림을 배웁니다.
3. 창조의 탄식에 참여하는가?
우리가 겪는 고통만이 아니라 자연과 역사 전체가 회복을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의 신앙을 확장시킵니다. 기도와 실천은 개인적 구원에 머물지 않고 창조의 회복을 기원하는 공동체적·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져야 합니다—환경 보호,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연대 등.
4. 성령의 중보에 기대하는가?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성령이 우리를 위해 기도하신다는 사실은, 우리의 연약과 무능 앞에서도 하나님께서 일하고 계심을 상기시킵니다. 기도가 막힐 때 성령의 중보를 의지하고, 우리의 기도 훈련이 성령의 도우심 안에서 새롭게 되도록 겸손히 요청합시다.
5. 예정의 위로와 책임
예정은 신비롭고 때로 논쟁을 일으키는 주제지만, 바울은 그것을 통해 하나님께서 이미 우리의 목표를 보시고 그분의 아들의 형상을 이루려 하심을 말합니다. 이는 믿는 자에게 위로를 주지만 동시에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려는 삶의 책임과 부르심(holiness)을 요구합니다. 예정은 책임을 면제하지 않습니다.
5. 실제적 적용(짧은 지침)
고난을 만날 때: 즉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말고, ‘이 고난은 장차 올 영광과 비교된다’는 관점을 떠올리며 기도와 말씀 묵상으로 회복할 것.
기도 생활: 말하기 어려운 감정이나 상황은 솔직히 주님께 내어놓고, 성령의 도우심을 간구할 것(“성령님, 제 기도를 도와주소서”).
공동체: 교회 안에서 고난을 함께 나누고, 창조 회복을 위한 작은 실천(지역 공동체 봉사 등)을 조직할 것.
소망 훈련: 잠깐의 불편과 시련 가운데 감사 목록을 세워 소망을 구체화할 것.
6. 기도문 (예배·개인 묵상용)
사랑의 하나님,
지금 이 자리에서 당신 앞에 나아갑니다. 아버지, 우리가 겪는 고난과 연약을 숨기지 않습니다. 때로는 이유를 알지 못해 분노하고, 때로는 슬픔에 잠겨 길을 잃기도 합니다. 그러나 주님, 바울이 고백한 것처럼 현재의 고난을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비교하게 하옵소서. 우리의 눈을 당신의 영원한 목적과 새 창조의 약속으로 돌이켜 주시고, 소망 가운데 참음으로 기다리는 믿음을 허락하소서.
성령님,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소서. 우리가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 모를 때 성령님께서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심을 믿습니다. 우리의 마음에 은밀히 역사하사, 우리의 탄식과 기도를 당신의 뜻대로 성부께 상달케 하시고, 우리를 하나님의 아들의 형상으로 변화시키는 성령의 사역을 온전히 이루어 주소서.
주님, 당신은 창조를 새롭게 하실 분이십니다. 피조물이 아직 함께 탄식하고 있음을 기억하며, 우리로 하여금 창조 회복을 위한 손길을 가지게 하옵소서. 우리의 작은 섬김과 정의의 행위가 당신의 큰 구속사에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시고, 고통받는 이웃을 향한 실천으로 우리 신앙을 증거하게 하옵소서.
하나님, 당신께서 미리 아시고 미리 정하신 목적을 신뢰합니다. 우리가 부르심을 받은 자로서 그 뜻에 합당하게 살게 하시고, 의롭다 함을 입은 은혜를 기억하며 겸손과 감사로 날마다 걷게 하소서. 또한 장차 영화롭게 하실 그 날을 소망하며, 오늘의 삶 속에서 성령의 열매를 맺게 하옵소서.
마지막으로 우리를 붙드시는 주님, 우리의 눈을 들어 영광의 소망을 보게 하시고, 그 소망이 우리의 현재를 변화시키게 하소서.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