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8장 31절부터 39절까지 개역개정 성경 본문을 드리겠습니다.


로마서 8:31~39 (개역개정)

31 그런즉 이 일에 대하여 우리가 무슨 말 하리요 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32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우리 모든 사람을 위하여 내주신 이가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지 아니하시겠느냐
33 누가 능히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들을 고발하리요 의롭다 하신 이는 하나님이시니
34 누가 정죄하리요 죽으실 뿐 아니라 다시 살아나신 이는 그리스도 예수시니 그는 하나님 우편에 계신 자요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시는 자시니라
35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나 박해나 기근이나 적신이나 위험이나 칼이랴
36 기록된 바 우리가 종일 주를 위하여 죽임을 당하게 되며 도살할 양 같이 여김을 받았나이다 함과 같으니라
37 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
38 내가 확신하노니 사망이나 생명이나 천사들이나 권세자들이나 현재 일이나 장래 일이나 능력이나
39 높음이나 깊음이나 다른 어떤 피조물이라도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


 

로마서 8장 31절–39절을 바탕으로 구성한 글(본문 요약, 신학적 해석, 관련 말씀, 깊이 있는 묵상, 그리고 기도문)을 작성하였습니다. 차분히 읽으시면서 본문의 위로와 도전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본문 요약

로마서 8:31–39은 바울이 ‘하나님의 사랑’과 그 사랑이 우리를 향한 최종적 보호를 확증하는 결론적 진술을 담고 있습니다. 바울은 먼저 질문을 던짐으로써 논리를 전개합니다 — “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31절). 이어서 하나님께서 자신의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내주신 사실(32절)을 근거로 삼아, 하나님의 선택과 의로우심(33절) 그리고 그리스도 예수의 중보(34절)를 제시합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환난이나 박해, 심지어는 죽음조차도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우리를 끊을 수 없다고 단언합니다(35–39절). 핵심은, 고난 가운데서도 하나님이 우리 편이시며(31절), 그분의 사랑은 어떤 권세나 상황보다 강력하여 끝까지 우리를 놓지 않는다는 확신입니다.

신학적 해석 — 핵심 주제와 신학적 함의

  1. 하나님의 편이심(Deus pro nobis)
    바울의 논증은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프로 히마스)’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합니다. 여기서 ‘위하심’은 단순히 감정적 지지보다 더 깊은 신적 작용 — ‘헌신적 구원행위’와 ‘섭리’(providence)를 포함합니다. 하나님이 주도하는 구원의 역사 속에서 피조물인 인간이 당면한 법적 정죄나 영적 적대는 본질적으로 무력합니다.
  2. 최후의 보증으로서의 십자가(대속과 사랑의 증거)
    32절의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내주심”은 하나님의 사랑을 행동으로 증명한 결정적 사건으로 제시됩니다. 바울 신학에서 십자가는 하나님의 사랑의 표지이며 동시에 정의와 의로움이 충족되는 장치입니다. 하나님이 아들을 내주신 사실은 우리에게 주실 ‘모든 것’에 대한 보증으로 이해됩니다.
  3. 그리스도의 중보와 최고 권능(우편에 계심과 간구)
    34절은 두 복합 진술(예수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 하나님 우편에 앉아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심)을 통해 종말론적·사역적 우위를 강조합니다. 즉 그리스도는 이미 승리하셨고(부활), 현재는 하나님 우편에서 우리를 위한 대리인(중보자)으로 계십니다. 이는 신자의 현재적 안전과 장래적 승리를 모두 보증합니다.
  4. 고난과 구원의 역설(고난은 분리시키지 못한다)
    35–39절의 목록(환난, 곤고, 박해, 기근, 적신, 위험, 칼 등)과 더불어 ‘사망이나 생명이나 천사들이나 권세자들…’라는 열거는 그 어떤 경험, 초자연적 세력, 시간과 공간의 경계도 하나님의 사랑을 끊을 수 없음을 보여 줍니다. 바울은 ‘경험의 현실성’을 인정하면서도 그 경험이 영적 실체(하나님의 사랑)를 결정할 수 없음을 말합니다.
  5. 법적·관계적 확신(정죄와 고발의 무력화)
    33–34절은 ‘누가 고발하리요? 누가 정죄하리요?’라는 반문을 통해 구원의 담보를 법적·관계적으로 설명합니다. 하나님이 의롭다고 선언하셨으므로 인간의 고발(혹은 죄)의 정죄권은 이미 무효화된 것이며, 예수의 중보가 이를 확증합니다.

관련 말씀 (목록 — 묵상이나 설교 준비에 유용한 본문)

  • 로마서 5:8 —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의 사랑의 행동)
  • 로마서 8:1, 8:28 —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정죄함이 없나니”,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룬다.” (정죄 없음과 섭리)
  • 갈라디아서 2:20 / 갈 4:5–7 — 성화·양자의 지위 관련
  • 요한복음 3:16 / 요한일서 4:9-10 — 하나님의 사랑의 본질과 계시
  • 시편 44:22(로마서 8:36이 인용) — 고난 속의 정체성 문제
  • 히브리서 7:25 / 요한복음 17장 — 그리스도의 중보·기도 사역
  • 고린도후서 4:8-10 — 고난과 영광의 관점

깊이 있는 묵상 — 본문이 오늘 우리에게 주는 영적 도전과 실천

  1. 고난의 현실을 부정하지 말라
    바울은 결코 고난을 미화하거나 부인하지 않습니다. 그는 ‘환난’과 ‘곤고’의 현실을 직접 열거합니다. 우리의 영적 확신은 고난을 부정함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고난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주권과 사랑을 신뢰함으로 세워집니다. 즉 ‘현실의 고통을 직시하는 용기’와 ‘그 가운데서도 포기하지 않는 신뢰’가 함께 요구됩니다.
  2. 구원의 확신은 삶의 판단 기준을 바꾼다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라는 질문은 단순한 위로 문구가 아니라 신자의 정체성과 행동을 재구성하는 원리입니다. 세상의 비난, 실패, 심지어 자신의 연약함 앞에서도 우리는 ‘하나님께 선택되고 의롭다 함 받음’을 삶의 근거로 삼아야 합니다. 그러면 실패 앞에서도 회복하려는 용기와 섬김의 자유가 생깁니다.
  3. 그리스도의 중보는 현재적·지속적 위로다
    그리스도는 단지 과거에 사건으로서 죽고 부활하신 분이 아니라, 현재 하나님 우편에서 우리를 위해 ‘간구하시는 자’입니다. 이 진술은 기도생활의 실천적 동기를 제공합니다 — 우리가 약할 때, 죄의 고백과 의뢰를 통해 중보하시는 분과 직접 연결되어 있음을 잊지 맙시다.
  4. 영적 전쟁의 관점(천사들·권세자들 언급)의 균형
    바울은 초자연적 권세들을 언급하지만, 최종적으로 그 권세들이 우리를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음을 선언합니다. 이는 영적 전쟁을 무시하라는 말이 아니라, 그 전쟁의 승패는 이미 그리스도 안에서 결정되었다는 확신으로 싸우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경계는 있으되 두려움에 사로잡히지 않는 균형이 필요합니다.
  5. 실천적 적용 — 삶에서의 구체적 변화
  • 고난 중에서의 감사 연습: 매일 작은 감사 목록을 써보라.
  • ‘정죄 없음’의 신앙을 회복하는 고백기도: 죄책감에 눌릴 때 8장 전체를 읽고 “정죄함이 없다”를 반복하라.
  • 교회 공동체에서 서로의 고난을 나누고 함께 기도하기: 개인의 확신은 공동체 속에서 더 단단해진다.
  • 예수의 중보를 믿는 중보기도 실천: 개인과 공동체를 위한 지속적 중보 기도 그룹을 만들어 보라.

기도문

(아래 기도문은 개인 묵상·예배·모임 기도로 바로 사용하실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하나님 아버지,
오늘도 우리의 연약함을 아시는 아버지 앞에 나아갑니다. 당신이 우리를 위하신다는 말씀을 붙들게 하시고, 그 진리로 우리의 마음을 굳게 세워 주소서.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환난과 곤고 속에서도 당신의 선하심과 주권을 의지하게 하시고, 두려움에 흔들리지 않게 하옵소서.

주님, 당신은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우리를 위하여 내주셨습니다. 십자가에서 흘리신 사랑의 피가 우리의 부끄러움과 죄를 씻어 주셨음을 믿습니다. 우리가 자랑할 것이 오직 십자가뿐임을 잊지 않게 하시고, 그 사랑을 입은 자답게 이웃을 섬기며 겸허히 살게 하옵소서.

예수님, 지금도 하나님 우편에서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시는 분, 우리의 중보자 되심을 감사합니다. 우리가 실수하고 넘어질 때에도 당신의 중보를 의지하게 하시며, 당신의 기도 가운데서 회복과 용기를 얻게 하옵소서. 우리를 향한 당신의 끊임없는 사랑을 체험하게 하시고, 그 사랑이 우리 삶의 모든 선택과 관계를 이끌게 하옵소서.

성령님, 우리 마음 속에 소망을 새롭게 하시고, 사망과 생명, 현재와 장래의 모든 상황 속에서 주님께 굳게 붙어 살게 인도하소서. 두려움 대신 믿음으로, 절망 대신 소망으로 응답하는 자들이 되게 하시고, 우리를 통해 당신의 사랑이 이 세상에 전해지게 하옵소서.

마지막으로 고통받는 이들과 함께하시며, 병든 자를 고치시고, 외로운 자에게 친구를, 억울함 당한 자에게 공의를 이루어 주소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손을 내밀어 주님의 위로가 되게 하시고, 세상에 빛과 소금으로 세움을 받게 하옵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마무리 적용과 권면

로마서 8:31–39은 단지 흥분시키는 문구들의 연속이 아니라, 고난 가운데 서 있는 신자에게 실제로 적용되어야 할 생활 신학입니다. 이 본문은 우리의 정체성을 새롭게 규정합니다 — 우리는 ‘하나님께 속한 사람’이며, 그분의 사랑 안에서 안전하다(assurance). 그러므로 삶의 작은 선택들에서부터 공동체를 향한 섬김까지, 이 확신이 실천으로 이어지기를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