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9장 14절부터 24절까지 개역개정 성경 본문을 아래에 적어드리겠습니다.
로마서 9:14~24 (개역개정)
14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을 하리요 하나님께 불의가 있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15 모세에게 이르시되 내가 긍휼히 여길 자를 긍휼히 여기고 불쌍히 여길 자를 불쌍히 여기리라 하셨으니
16 그런즉 원하는 자로 말미암음도 아니요 달음박질하는 자로 말미암음도 아니요 오직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으로 말미암음이니라
17 성경이 바로에게 이르시되 내가 이 일을 위하여 너를 세웠으니 곧 너로 말미암아 내 능력을 보이고 내 이름이 온 땅에 전파되게 하려 함이라 하셨으니
18 그런즉 하나님께서 하고자 하시는 자를 긍휼히 여기시고 하고자 하시는 자를 완악하게 하시느니라
19 혹 네가 내게 말하기를 그러면 하나님이 어찌하여 허물하시느냐 누가 그 뜻을 대적하느냐 하리니
20 이 사람아 네가 누구이기에 감히 하나님께 반문하느냐 지음을 받은 물건이 지은 자에게 어찌 나를 이같이 만들었느냐 말하겠느냐
21 토기장이가 진흙 한 덩이로 하나는 귀 쓰는 그릇을, 하나는 천히 쓰는 그릇을 만들 권한이 없느냐
22 만일 하나님이 그의 진노를 보이시고 그의 능력을 알게 하고자 하사 멸하기로 준비된 진노의 그릇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하시고
23 또한 영광 받기로 예비하신 바 긍휼의 그릇에 대하여 그 영광의 풍성함을 알게 하고자 하셨을지라도 무슨 말을 하리요
24 이 그릇은 우리니 곧 유대인 중에서 뿐 아니라 이방인 중에서도 부르신 자니라
본문 요약
로마서 9:14–24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의로움과 선택(택하심)에 대해 논합니다. 사람들은 “하나님께 불의가 있느냐?” 하고 질문할 수 있으나 바울은 단호히 부인합니다(14절). 그는 모세와의 대화를 인용해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이 사람의 공로나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니며(15–16절), 하나님은 자기의 뜻과 목적에 따라 역사를 주관하신다고 말합니다. 바울은 바로(Pharaoh)를 예로 들어 하나님의 섭리가 어떻게 악한 자도 사용하시는지를 지적(17절)하고, 하나님은 어떤 자는 긍휼히 여기시고 어떤 자는 ‘완악하게 하신다’는 표현으로 하나님의 주권을 설명합니다(18절). 이어서 바울은 인간의 불평을 예상하고 토기장이와 진흙의 비유(토기장이가 한 진흙으로 여러 그릇을 만듦)를 들어 하나님의 권위를 강조합니다(19–21절). 마지막으로 바울은 하나님이 진노를 보이시고 멸하기로 준비된 그릇들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을 보이시며, 동시에 긍휼의 그릇들에게는 영광을 예비하셨다는 점을 통해 하나님의 목적이 결국 자신의 영광을 드러내려 함임을 밝힙니다(22–24절). 결론적으로, 바울은 하나님의 선택과 주권이 인간의 의문을 넘어서는 신비이며, 하나님의 뜻은 궁극적으로 그의 영광과 긍휼을 드러내는 데 있음을 말합니다.
신학적 해석 (핵심 주제와 해석적 쟁점)
- 하나님의 공의와 긍휼의 병존
바울은 “하나님께 불의가 있느냐?”(14절)로 시작하여 하나님의 공의를 옹호합니다. 동시에 그는 긍휼(misercordia)이 오직 하나님께 속한 것임을 강조합니다(15–16절). 즉 인간의 구원은 인간의 공로나 능력이 아니라 하나님의 긍휼에 달려 있다는 구원론적 선언입니다. - 택하심(선택)과 하나님의 주권
바울은 하나님이 누구를 긍휼히 여기실지 선택하신다고 말합니다. 이 선택은 인간의 행위(원하는 자나 달음박질하는 자)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 때문입니다(16절). 이는 ‘예정’·‘택하심’ 논쟁의 핵심인데, 바울은 인간의 자유와 책임과 함께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을 강조합니다. - “완악하게 하심”의 의미
18절의 “완악하게 하시느니라”는 표현은 문자적으로 ‘hardening’으로 이해됩니다. 바울은 바로의 사례(17절)를 통해 하나님이 그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때로 인간의 반항을 포함한 상황을 사용하신다고 말합니다. 중요한 신학적 포인트는 이것이 하나님의 불의가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심판과 경고의 결과라는 점입니다. 또한 인간의 반역과 하나님의 심판은 상호작용적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토기장이 비유: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
20–21절의 토기장이와 진흙 비유는 하나님이 창조주로서 작품(피조물)에 대해 주권적 권한을 가지신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비유는 인간의 질문(“어찌하여 그렇게 만드셨나?”)이 창조주 앞에서 제한됨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 비유는 또한 하나님이 임의적·독단적이라는 뜻만은 아니며, 바울은 곧이어 하나님의 목적(관용과 긍휼, 영광)을 설명합니다. - 목적론적 신학 — 하나님의 영광
22–24절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인내(진노의 그릇에 대한 오래 참음)와 긍휼(영광 받기로 예비된 그릇)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의 풍성함’을 드러내려 함을 말합니다. 즉 역사의 사건은 하나님의 속성(공의·진노·긍휼·영광)을 계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집니다. - 신정론(神正論)과 인간의 질문
19–21절에서 바울은 인간의 질문(하나님께 반문함)에 대해 정면으로 대응하지 않고 질문을 되돌려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로 돌립니다. 이는 인간이 하나님의 깊은 섭리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음을 인정하게 합니다. 그러나 불확정·불가해성 속에서도 하나님의 성품(공의와 긍휼)은 계시됩니다.
관련 말씀(묵상과 신학적 연결에 유익한 구절)
- 출애굽기 33:19 — “내가 긍휼히 여길 자를 긍휼히 여기리라” (로마서 9:15 인용의 출처)
- 출애굽기 9:16 — 바로에 관한 말씀 (로마서 9:17 인용의 출처)
- 예레미야 18:1–6 — 토기장이의 비유 (로마서 9:21과 연결)
- 이사야 45:9 — “도기장이 토기를 어찌하랴” (하나님과 피조물의 관계를 말함)
- 로마서 8:28–30 — 하나님의 목적과 예정, 부르심, 의롭다 하심, 영화에 관해 (구속사적 연결)
- 에베소서 1:4–6 — 하나님이 우리를 택하신 은혜와 목적 (택하심의 신학적 연결)
- 시편 115:3 / 시편 135:6 — 하나님의 뜻과 섭리(하나님의 방법은 인간의 이해를 초월함)
(위 성구들은 묵상과 해석에서 자주 연결되는 본문들입니다. 본문 간의 상호연결을 통해 로마서 9장의 메시지를 더 풍성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깊이 있는 묵상 (내적 적용과 실천적 함의)
- 겸손의 자리로 초청받음
이 본문은 질문하는 자에게 먼저 겸손을 요구합니다. “네가 누구이기에 하나님께 반문하느냐”(20절)라는 도전은, 우리의 한계와 피조물의 자리로 회복하라는 초대입니다. 우리의 의문과 불평은 때로 하나님을 협소하게 규정하려는 시도입니다. 묵상할 때, 나는 어떤 부분에서 하나님의 길을 판단하려 했는가? 무엇을 놓치고 있었는가? - 은혜의 주체를 바로 보기
구원은 인간의 공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긍휼임을 인정할 때, 우리는 감사와 경외로 나아갑니다. “원하는 자로 말미암음도 아니요… 오직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으로 말미암음”(16절). 나의 안전, 성장, 소명 가운데 하나님의 긍휼이 얼마나 명확히 드러나는지 돌아보십시오. 이는 감사와 삶의 방향을 바꿉니다. -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목적을 신뢰하기
때로 우리는 고난과 불의, 악의 승리를 보며 하나님의 부재를 의심합니다. 그러나 바울은 하나님이 진노의 그릇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긴 인내)을 보이신다고 말합니다(22절). 하나님의 시간표와 목적은 우리가 보는 즉각성과 다릅니다. 이 사실은 고난 속에서도 소망을 붙들게 합니다. - 복음사역과 겸손한 설득
택하심의 신비는 우리가 전도의 손을 놓아야 함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하나님이 부르시는 수단으로 우리를 사용하십니다(24절: “부르신 자니라”). 그러므로 우리는 사람을 판단하거나 배제하기보다 복음을 전하는 겸손한 도구가 되어야 합니다. - 하나님의 영광을 구하는 삶
바울은 하나님의 목적이 ‘영광의 풍성함을 알게 하는 것’임을 말합니다(23절). 우리의 삶도 개인적 성공을 넘어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재정렬되어야 합니다. 일상에서—가정, 직장, 공동체—하나님의 성품을 드러내는 것이 곧 로마서 9장의 실천적 응답입니다.
기도문 (묵상 후 드리는 기도)
거룩하신 하나님,
주님의 주권과 긍휼을 찬양합니다.
제가 이해하지 못하는 일들 앞에서 먼저 반문하고 불평하기보다, 주님의 크심과 지혜를 인정하게 하소서.
제가 스스로의 공로로 주님을 얻었다 생각하지 않게 하시고, 오직 주님의 긍휼과 은혜로 서 있음을 늘 기억하게 하옵소서.
하나님, 때로는 주님의 길이 제게 불공평하게 보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저의 의심과 질문을 주님 앞에 정직하게 드리되, 교만이 아니라 겸손으로 돌아가 진흙과 토기장이의 관계를 받아들이게 하소서.
주께서 악과 불의도 사용하시어 결국 주의 영광을 드러내심을 신뢰하게 하시고, 제가 그 신비 앞에서 감사하며 순종하게 하옵소서.
주님, 긍휼을 베푸시는 분께서 제 형제와 이웃을 긍휼히 여기시고, 복음의 소식이 각 사람의 마음을 흔들어 주시옵소서.
저를 복음의 도구로 사용하사, 내가 만나는 이들을 향해 주님의 사랑과 긍휼을 전하게 하시며, 그 결과를 주님께 맡기게 하옵소서.
마지막으로, 주의 영광이 모든 만물 가운데 드러나게 하시고, 저의 삶이 그 영광을 반사하는 거울이 되게 하옵소서.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